2025년 해외구매대행 부가세 신고 유의점 3가지

1월은 부가세 신고의 달! 유의점을 알아봅시다.
리펀디's avatar
Jan 15, 2025
2025년 해외구매대행 부가세 신고 유의점 3가지

구매대행 마진율을 높여주는 리펀디입니다 💚

2025년 1월은 부가세 신고 기간으로, 구매대행 셀러분들 모두 바쁜 일정을 보내고 계실 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해외구매대행 부가세 신고 시 꼭 알아야 할 3가지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과세기간과 신고기한을 철저히 확인하세요!

부가세 신고는 정해진 과세기간신고기한을 준수해야 진행됩니다. 이를 정확히 숙지하지 못하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하셔야 해요.

과세기간은 부가세를 부과할 매출 및 매입이 발생한 기간을 의미하며, 신고기한은 해당 기간에 발생한 내역을 신고하고 납부를 완료해야 하는 최종 마감일을 뜻합니다.

간이과세자 (연간 기준 과세)

  • 과세기간: 2024년 1월 1일 ~ 12월 31일

  • 신고기한: 2025년 1월 25일

일반과세자 (반기 기준 과세)

  • 1기 과세기간: 2024년 1월 1일 ~ 6월 30일
    1기 신고기한: 2024년 7월 25일

  • 2기 과세기간: 2024년 7월 1일 ~ 12월 31일
    2기 신고기한: 2025년 1월 25일

📌 Tip
신고기한은 신고와 납부를 동시에 완료해야 하는 최종 마감일입니다. 홈택스 알림 설정을 통해 마감일을 놓치지 않도록 미리 준비해보세요!

2. 매출액은 순매출액 기준으로 신고하세요!

구매대행업(업종코드: 525101)은 순매출액을 기준으로 부가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이는 고객 대신 상품을 구매해주고 수수료를 받는 구조이기 때문인데요.

순매출액과 총판매액의 차이

  • 총판매액: 고객이 결제한 총 금액 (상품 금액 + 국제 배송비 + 기타 비용)

  • 순매출액: 총판매액에서 상품 구매 원가, 배대지 비용 등을 제외한 금액

즉, 실제로 신고해야 하는 금액은 상품 구매대행 수수료(마진)만 포함된 금액이므로 정확한 계산이 필수입니다.

3. 확실한 증빙 자료와 소명을 준비하세요!

부가세 신고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매출과 매입 내역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특히 해외구매대행은 다양한 국내외 거래를 다루기 때문에 증빙 자료를 꼼꼼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출 증빙

구매대행 매출은 쿠팡, 네이버, G마켓 등 이용한 플랫폼별 매출 내역을 조회하고 정리하여 제출하세요.

매입 증빙

매입비용은 크게 매입원가, 배송비, 기타비용으로 구분됩니다.

  • 매입원가: 타오바오 등에서 구매한 상품의 인보이스

  • 배송비: 배대지 사이트를 통한 비용 내역

  • 기타비용: 발생 시 영수증 제출

📌 Tip
매입매출 자료를 일정 주기로 엑셀 파일에 정리해 두세요. 부가세 신고 시 상품별 매입·매출 내역 소명을 요구받는 경우가 많아 사전에 준비해두면 신고 절차를 수월하게 마칠 수 있습니다!

결론

부가세 신고를 마치고 나면 허탈한 마음이 들 수 있죠. 아직 많이 벌지도 못했는데 세금으로 지갑이 얇아지는 느낌, 공감됩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리펀디는 타오바오에서 숨겨진 이익금을 찾아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타오바오 캐시백 & 환급금으로 줄어든 지갑을 다시 채우고 싶으시다면, 지금 바로 리펀디를 확인해보세요! 😊

Share article

Refundy